17-01 Barrier method & duality & optimality revisited

15장에서 barrier method에 대해, 13장과 16장에서는 duality에 대해 살펴보았다. 본 장의 내용을 다루기 전에 barrier method와 duality에 대해 간단하게 다시 정리해 보고자 한다.

Barrier method

아래와 같은 primal 문제가 convex이고 \(f, h_i , i = 1, . . . m\)가 미분가능 할 때,

\[\begin{align} &\min_{x} && f(x) \\ &\text{subject to } &&h_{i}(x) \leq 0, i = 1, \dotsc, m \\ &&& Ax = b \\ \end{align}\]

Log barrier function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primal 문제를 barrier 문제로 바꿀 수 있다.

\[\begin{align} & \min_{x} && f(x) + \frac{1}{t} \phi(x) & \qquad & \min_{x} && tf(x) + \phi(x) \\ & \text{subject to } && Ax = b & \iff \qquad & \text{subject to } && Ax = b \\ & \text{where } && \phi(x) = - \sum_{i=1}^{m} \log(-h_i(x)) \end{align}\]

알고리즘은 \(t > 0\)를 만족하는 \(t = t^{(0)}\)에서 시작해서 \(\frac{m}{t}\)가 \(\epsilon\)보다 작거나 같아질 때까지 증가시킨다. 이때, Newton’s method를 이용해 초기값 \(x^{(0)}\)에 대한 \(x^{\star}(t)\)를 구하고 \(k = 1, 2, 3, . . .\)에 대해 각 단계에서 \(x^{(k+1)} = x^{\star}(t)\)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 한다.

알고리즘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
  1. \(t^{(0)} \gt 0\)이고 \(k := 0\)을 선택한다.
  2. \(t = t^{(0)}\)에서 barrier problem을 풀어서 \(x^{(0)} = x^{\star}(t)\)을 구한다.
  3. While \(m/t \gt \epsilon\)
    3-1. \(t^{(k+1)} = µt\)로 업데이트 한다. \((µ > 1)\)
    3-2. Newton’s method를 \(x^{(k)}\)로 초기화한다. (warm start)
    \(t = t^{(k+1)}\)에서 barrier problem을 풀어서 \(x^{(k+1)} = x^{\star}(t)\)을 구한다.
    end while

Duality

다음과 같은 primal 문제가 주어졌을 때,

\[\begin{align} \mathop{\text{minimize}}_x &\quad f(x) \\\\ \text{subject to} &\quad f Ax = b \\\\ &\quad h(x) \le 0 \end{align}\]

이를 Lagrangian 형태로 바꾸면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.

\[L(x,u,v) = f(x) + u^Th(x) + v^T(Ax - b)\]

이와 같이 정의된 Lagrangian을 이용해서 primal과 dual problem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다시 정의할 수 있다. 자세한 내용은 16장을 다시 살펴보기 바란다.

Primal Problem

\[\min_x \mathop{\max_{u,v}}_{u \geq 0} L(x,u,v)\]

Dual problem

\[\mathop{\max_{u,v}}_{u \geq 0} \min_x L(x,u,v)\]

Optimality conditions

\(f,h_1,...h_m\)은 convex 이고 미분 가능하고, 또한 주어진 문제가 strong duality를 만족한다고 가정할 때, 이 문제에 대한 KKT 최적 조건(optimality condition)은 아래와 같다.

\[\begin{array}{rcl} ∇f(x) +∇h(x)u + A^Tv & = & 0 & \text{(Stationarity)}\\\ Uh(x) & = & 0 & \text{(Complementary Slackness)} \\\ Ax & = & b & \text{(Primal Feasibility)}\\\ u,−h(x) & ≥ & 0 & \text{(Dual Feasibility)} \end{array}\]

여기서 \(U\)는 \(\text{diag}(u)\)를 뜻하며, \(∇h(x)\)는 \([ ∇h_1(x) ··· ∇h_m(x) ]\)를 의미한다.

Central path equations

함수 \(f(x)\)를 barrier 문제로 아래와 같이 재정의 할 수 있다.
아래 수식에서 \(τ\)는 \(\frac{1}{t}\)이며 \(\tau\)를 점점 0에 가깝게 해서 반복적으로 해를 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원래 문제의 해를 구하게 된다.

\[\begin{align} &\min_{x} && {f(x) + τ\phi(x)} \\\\ & &&{Ax = b} \\\ & \text{where } && \phi(x) = −\sum_{i=1}^m \log(−h_i(x)). \end{align}\]

즉, 위 식에서 \(τ\)에 따라 primal 문제와의 차이가 발생하며, \(τ\)에 따라 생기는 궤적 즉, barrier 문제에 대한 해의 집합을 central path라고 한다.

그리고 이 barrier 문제에 대한 optimality conditions은 다음과 같다.

\[\begin{array}{rcl} ∇f(x) +∇h(x)u + A^Tv & = & 0 \\\ Uh(x) & = & −τ\mathbb{1} \\\ Ax & = & b \\\ u,−h(x) & > & 0 \end{array}\]

이번 장에서 소개할 Primal-Dual interior point method는 위의 처음 세 가지 식을 residual로 정의하고 이를 \(0\)으로 줄이면서 해를 구하는 방식이다.

Useful fact

솔루션 \((x(τ),u(τ),v(τ))\)는 다음의 \(mτ\) 즉 \(\frac{m}{t}\) 크기 만큼의 duality gap을 갖는다.

\[f(x(τ))−\min_x L(x,u(τ),v(τ)) = mτ= \frac{m}{t}\]